윈도우10

윈도우10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방법

레테나 2024. 3. 22.
반응형

안전모드는 제한된 드라이버를 사용해 윈도우를 기본 상태로 가동하여, PC 문제를 해결하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일 안전 모드상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기본 설정과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문제의 원인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안전 모드에는 세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안전 모드 사용 : 최소한의 드라이버와 기능으로 윈도우를 기동합니다.

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 사용 : 윈도우를 안전 모드로 부팅하고,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액세스하는데에 필요한 네트워크 드라이버와 기능을 포함합니다.

안전 모드(명령 프롬프트 사용) 사용 : 일반 윈도우 인터페이스가 아닌 명령 프롬프트 창을 사용하여 윈도우를 안전 모드로 가동합니다. 

 

윈도우10을 안전 모드, 안전 모드(네트워크 사용), 안전 모드(커맨드 프롬프트 사용). 이렇게 세가지로 진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안전-모드에-진입한-모습

 

 

고급 시작 옵션을 사용하여 안전 모드로 부팅

 

1  고급 시작 옵션으로 들어갑니다.

 

2  문제 해결을 클릭합니다.

 

안전-모드-부팅을-위한-문제-해결-진입

 

 

3  고급 옵션을 클릭합니다.

 

안전-모드-진입을-위한-고급-옵션-클릭

 

 

4  시작 설정을 클릭합니다.

 

안전-모드-진입을-위한-시작-설정-클릭

 

 

5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안전-모드-진입을-위한-다시-시작

 

 

6  컴퓨터가 재시작되면 아래의 키를 눌러 안전 모드로 실행합니다. 

 

⦁  F4 : 안전 모드

⦁  F5 : 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

⦁  F6 : 안전 모드(명령 프롬프트 사용)

 

안전-모드-진입을-위한-단축키-입력

 

 

 도움이 될 관련된 글들을 따로 모아두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