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전모드는 제한된 드라이버를 사용해 윈도우를 기본 상태로 가동하여, PC 문제를 해결하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일 안전 모드상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기본 설정과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문제의 원인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안전 모드에는 세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 안전 모드 사용 : 최소한의 드라이버와 기능으로 윈도우를 기동합니다.
⦁ 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 사용 : 윈도우를 안전 모드로 부팅하고,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액세스하는데에 필요한 네트워크 드라이버와 기능을 포함합니다.
⦁ 안전 모드(명령 프롬프트 사용) 사용 : 일반 윈도우 인터페이스가 아닌 명령 프롬프트 창을 사용하여 윈도우를 안전 모드로 가동합니다.
윈도우10을 안전 모드, 안전 모드(네트워크 사용), 안전 모드(커맨드 프롬프트 사용). 이렇게 세가지로 진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고급 시작 옵션을 사용하여 안전 모드로 부팅
1 고급 시작 옵션으로 들어갑니다.
2 문제 해결을 클릭합니다.
3 고급 옵션을 클릭합니다.
4 시작 설정을 클릭합니다.
5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6 컴퓨터가 재시작되면 아래의 키를 눌러 안전 모드로 실행합니다.
⦁ F4 : 안전 모드
⦁ F5 : 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
⦁ F6 : 안전 모드(명령 프롬프트 사용)
도움이 될 관련된 글들을 따로 모아두었습니다.
반응형
'윈도우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사용자 처음 로그인 애니메이션 키고 끄는 방법 (0) | 2024.03.23 |
---|---|
윈도우10 빠른실행 퀵 링크 메뉴 여는 방법 (0) | 2024.03.23 |
윈도우10 고급 시작 옵션으로 부팅하는 방법 (1) | 2024.03.22 |
윈도우10 앱 설정에 들어가는 방법 (0) | 2024.03.22 |
윈도우10 시작 메뉴 크기 바꾸는 방법 (0) | 2024.03.22 |
댓글